한국사 놀이터/고려시대 (2) 썸네일형 리스트형 고려 광종 노비안검법으로 피의 군주로.. 비슷한 맥락의 태종 이방원과 옹정제 고려 광종은 초기의 호족들과 잘지내며 7년간 유화책을 펼쳤지만 노비안검법 이후의 행보는 조선의 태종 이방원과 같은 절대군주의 모습으로 변합니다. 고려는 후삼국시대의 혼란기를 거치며 왕건이 주군으로 모시던 궁예를 물리치고 견훤의 아들 신검이 반란을 일으킨 후백제와 기득권을 인정해주고 경순왕을 회유하고... 아들에게 버림받은 견훤의 투항도 받아주는등 많은 수용정책을 통해 결국 통일국가를 만들게됩니다. 하지만 왕권은 그래도 불안정한 상태로 지방의 힘이 제어되지 않는 상태였기에 왕건은 결혼정책을 통해 호족과의 관계를 설정합니다. 그 결과로 공식적으로 알려진 부인만 29명으로 이전에 사극 태조왕건에서는 임종시에 많은 부인들이 곡을 하는 장면이 나오기도 했습니다. 물론 사극이기에 실제장면이라기보다 함축적으로 보여주.. [문화재 정보]고려 수월관음보살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세계최고 수준의 화려한 고려불화는 현재 대부분 일본과 외국에 있습니다. 일제강점기 많이 외국으로 나가 국내에 많지 않은 고려불화인데 많이 반환되었으면 좋겠습니다. 20여년전 호암아트홀에서 고려불화 특별전을 보고 깜짝 놀라던 기억이 떠오릅니다. 화려함의 정점을 보여준 고려불화를 좀더 많이 접할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문화재청은「고려 수월관음보살도」 등 4건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하고, 국보 제233호「전 산청 석남암사지 납석사리호」의 지정명칭과 지정번호를 변경하였다. 보물 제1903호 「고려 수월관음보살도(高麗 水月觀音菩薩圖)」는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입법계품(入法戒品)의 내용 중, 선재동자(善財童子)가 보타락가산에 머물고 있는 관음보살을 찾아가 깨달음을 구하는 장면을 묘사한 것이다. 선재동..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