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 놀이터/선사시대

(5)
한국인발견 - 국립문화재연구소, 1,300여점의 빙하기 시대 포유동물 화석 10월말 표본 화석 공개 세계적으로도 희귀한 매머드의 털과 피부등 빙하기시대의 포유동물의 화석이 기증받아 전시됩니다. 한반도에는 공룡화석과 집단서식을 알수있는 많은 선사시대 화석등이 발견되었지만 매머드와 관련된것은 많지않아 희귀한 전시가 될것으로 기대됩니다. 희귀 표본인 매머드털과 피부 매머드 상아표본(3미터 이상크기) 크기를 비교하기위해 반달가슴곰 두개골과 비교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최맹식)는 최소 1만 년 이전에 살았던 털매머드를 비롯한 희귀 신생대 포유동물 화석 표본들을 기증을 통해 확보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국적의 재일교포이자 일본 나가노현 고생물학박물관의 박희원 관장이 1994년부터 직접 시베리아 동토층에서 발굴한 털매머드를 비롯한 다양한 화석 표본들을 지난해 6월 국립문화재연구소에 기증하여 11월 국내 이송을..
강원도 평창 청동기시대 무덤에서 비파형동검과 인골 출토 강원도는 선사시대 유적과 유물이 많이 나오네요.. 레고랜드 개발하려고 할때도 전체 영역 자체가 유적지였는데 이번에는 평창 개인주택 신축부지에서도 발굴되었다고 합니다. 답사를 다니다보면 항상 지역의 전시장이나 박물관을 들르게되는데 풍부한 역사자원이 순수 연구 목적은 물론이고 지역의 주목성을 높이는데도 기여하고있습니다. 발굴지역 원경 - 강원도 평창 하리 신축주택 부지 공사중 발견 조사지역 전체 현황도 2호 무덤 전경 2호 무덤내 인골과 비파형 동검 출토 당시 출토된 비파형 동검 비파형 동검 세부 용어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의 허가를 받아 (재)강원고고문화연구원(원장 지현병)이 발굴조사 중인 평창군 하리 건물 신축부지 내 유적에서 비파형동검과 신전장을 한 피장자의 인골이 함께 확인되었다. * 비파형동검(琵琶..
세계 최초 중생대 백악기 도마뱀 발자국 - 경남 남해군 가인리 화석산지에서 발견 우리나라에서 중생대 백악기 시기의 도마뱀 발자국 화석이 발견되었습니다. 경남 남해는 지난달에 보리암등을 다녀온 곳인데.. 남해 가인리 화석산지에서 발견되었답니다. 내년 일반에 공개예정.. 세계최초로 발견된 중생대 백악기 시절의 도마뱀 발자국 산쑥도마뱀의 왼발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최맹식)는 경남 남해군에 있는 “남해 가인리 화석산지”(천연기념물 제499호)에서 중생대 백악기에 살았던 도마뱀 발자국 화석을 세계 최초로 발견하였다. 발견된 도마뱀 발자국 화석은 총 8개의 앞발자국과 뒷발자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금까지 전 세계에서 단 한 번도 보고된 적이 없는 중생대 백악기의 도마뱀 발자국으로, 이 화석이 발견된 지층은 약 1억년 전인 중생대 백악기 함안층이다. * 함안층: 중생대 백악기 약 1억..
강원도 정선 매둔동굴 - 선사 시대의 구석기 신석기 문화양상 담겨진 동굴유적 발굴 강원도 정선에서 선사시대의 생활상이 담긴 유적이 발굴되었습니다. 정선의 매둔동굴안에서 화덕자리와 석기 그리고 여러 동물들의 뼈가 나왔는데 특히 물고기뼈가 나왔습니다. 물고기에 관한 수렵자료는 많지 않기에 이곳처럼 냇가에서의 수렵생활 연구에 많은 도움이 될것으로 보입니다. 강원도 정선에서 선사시대 유물 발견은 처음입니다. 정선 낙동리 매둔동굴 전경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의 허가를 받아 연세대학교박물관(관장 한창균)은 지난 6월부터 약 한 달간 2차례에 걸쳐 강원도 정선군 남면 낙동리에 자리한 석회암 동굴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구석기 시대와 신석기 시대의 문화층이 있는 동굴유적이 확인되었다. 정선군에서 선사 시대의 동굴유적 발굴은 이번이 처음이다. 정선 낙동리 매둔동굴 조사광경 * 발굴 현장: 강원도 정..
인문학강의 [Who am I] 유홍준 - 빛은 한반도로부터 나의 문화유산답사기의 저자 유홍준의 2013년 TV강연 유홍준 교수의 '빛은 한반도로부터: 한국인과 한국문화의 뿌리' [강연소개] 공존과 공생관계를 회복하기 위하여, 누군가는 쌍방에서 날아오는 독화살을 강풍으로 날려버리고 당당히 맞서지 않고서는 한일 고대사의 유대를 성공적으로 복원할 수는 없다. 색안경을 벗어 던지고, 우리의 뿌리에 대해, 그리고 일본은 한국에서 어떤 존재인지 함께 고민해보는 시간을 갖는다. [강연자 소개] 유홍준 교수 명지대학교 미술사학과 교수, 제주 추사관 명예관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예술철학 박사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 '유홍준의 국보순례', '화인열전' 外 다수 집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