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 이전 명종21년인 1566년에 지어졌다는 기록이 있는 예천의 야옹정이 보물로 지정되었습니다. 주변에 들를일 있으면 가봐야겠네요.. 보존 문제로 공개가 될지는 의문입니다만.. 조선전기 건축양식이 그대로 남아있다고 합니다. 얼마남지 않은 조선전기의 건축물일듯합니다.
예천 야옹정
야옹정 내부
기와에 남아있는 가정 병인 건축 연대
공포
영쌍창
통평고대
건물내부 단청 흔적
건물외부 단청 흔적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 경상북도 예천군에 있는「예천 야옹정」(醴泉 野翁亭)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제1917호로 지정하였다.
현재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30호로 지정되어 있는 야옹정은 조선 중종 때 학자인 야옹(野翁) 권의(權檥, 1475~1558)의 아들 권심언(權審言)이 돌아가신 아버지의 학덕을 추모하기 위해 지은 정자로, 아버지의 호를 따서 ‘야옹정’이라 이름 붙였다.
건물의 수리 내력이 적힌 중수기(重修記)에 따르면 이 정자는 임진왜란 전인 1566년(명종 21)에 건립되었다. 건물의 지붕에는 1566년을 가리키는 ‘가정 병인(嘉靖 丙寅)’이라는 글자가 새겨진 기와가 남아 있어 이를 뒷받침 해준다.
건물의 평면은 전체적으로 정면 4칸, 측면 4칸의 ‘고무래 정(丁)’자 형이다. 정면 좌측 3칸은 대청으로 꾸몄으며, 오른쪽으로 온돌방 3칸과 누마루 1칸을 세로로 길게 두었다. 건물 주위에는 흙과 돌로 만든 토석담장을 둘렀고, 전면 담장 왼쪽에는 기둥이 네 개인 사주문(四柱門)을 세워 정자로 출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임진왜란 이전에 지어진 야옹정은 조선 전기의 건축양식을 잘 보여준다. 지붕의 무게를 받치는 공포가 기둥 위에만 놓여 있고, 공포를 이루고 있는 새 날개 모양의 익공(翼工)이 짧고 강직한 점, 창호의 가운데에 문설주가 세워진 영쌍창 등은 조선 전기 건물의 특징이다.
또한, 지붕의 서까래 위에 놓이는 평고대와 착고막이를 하나의 부재로 만든 통평고대는 이 건물의 가치를 더해준다. 이러한 방식은 고려 시대 건물인 안동 봉정사 극락전 등에서 볼 수 있는 기법으로, 야옹정의 오랜 역사를 잘 보여준다. 그리고 건물 내부의 천장 등 곳곳에는 단청의 흔적이 부분적으로 남아 있는데, 정자에 단청을 한 것은 보기 드문 예이다.
현재 임진왜란 이전의 건물이 많이 남아 있지 않은 점을 감안할 때, 이처럼 1566년 최초 건립 당시의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는 야옹정은 임진왜란 이전의 한국 건축을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보물로 지정된 「예천 야옹정」이 체계적으로 보존ㆍ관리될 수 있도록 지방자치단체, 소유자(관리자) 등과 적극적으로 협조할 계획이다.
내용 및 이미지 출처 - 문화재청
'한국사 놀이터 > 조선시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효명세자의 부인 신정왕후의 일생 - 동구릉 수릉 (0) | 2016.09.15 |
---|---|
안동김씨세력과 맞서던 순조의 아들 효명세자 어진 (0) | 2016.09.13 |
송광사 오불도 미국 포틀랜드 박물관에서 내년에 반환 (0) | 2016.09.02 |
최초의 조선 시대 조운선 마도 4호선 발굴조사 완료 (0) | 2015.11.09 |
병자호란을 돌아보다 - 한명기 교수 EBS 특강 영상과 JTBC 궁중잔혹사 꽃들의전쟁에 나온 삼전도의 치욕 (0) | 2015.06.04 |